Responsive Advertisement
트라우마극복
긍정이 병을 이깁니다 희망이 절망을 이깁니다. 생각부터 다른 다양한 건강정보를 만나보세요

당신이 떠난 후의 온라인 흔적 사후 디지털 자산 관리 가이드

디지털 시대에 간과하기 쉬운 '디지털 유산' 관리의 중요성과 실용적 방법을 소개합니다. 사망 후 온라인 계정과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플랫폼별 정책과 준비 방법을 알아보세요.
어제 밤,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내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다면... 내 인스타그램은? 블로그는? 그리고 암호화폐는...? 아찔했어요. 블로그 컨설턴트로 일하며 수많은 사이트를 관리해온 지난 10년간,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완전히 간과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직접 겪은 사례들과 함께 '디지털 유산'에 대해 솔직하게 풀어볼게요.

죽음 이후에도 남는 온라인 흔적들

"디지털 유산이 뭐야?" 라고 물으신다면, 간단히 말해 당신이 이 세상에 남기는 모든 디지털 흔적이에요. 지난달 제 고객 중 한 분이 이렇게 물으시더라고요. "김 컨설턴트님, 제가 죽으면 제 블로그는 어떻게 되나요?"

사실 이건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어요. 첫째, 당신의 아이디와 비번 같은 '계정정보'. 둘째, 이메일에 담긴 개인적인 내용들인 '이용정보'. 셋째, 인스타에 올린 사진이나 블로그 글처럼 '공개 정보'죠.

헐, 생각해보니 저도 계정이 최소 50개는 넘는 것 같아요! 여러분도 한번 세어보세요. 이메일, 카톡, 인스타, 페북, 넷플, 쿠팡, 네이버페이... 끝도 없죠? 문제는 이런 계정들이 나 없이 어떻게 처리될지 법적으로 명확하지 않다는 거예요. 진짜 골치 아픈 부분이죠.

준비 안 하면 이런 일이...

작년에 제가 컨설팅하던 한 유튜버분이 갑작스런 사고로 돌아가셨어요. 그분 채널은 월 수입이 꽤 괜찮았는데, 가족들이 접근할 방법이 전혀 없었죠. 비번도 모르고, 구글은 보안정책 때문에 계정 접근을 허용하지 않았어요. 결국 수익이 그냥 묶여버렸죠. 아직도 그 가족분들 생각하면 마음이 아파요.

또 2019년엔 제 지인 블로거가 암 진단 받고 자기 블로그 처리 문제로 상담한 적 있어요. 8년간 키운 블로그에 광고 수익이 꽤 됐거든요. 결국 비밀번호 목록을 종이에 적어 금고에 보관하는 방법을 택했지만, 법적으론 여전히 불안정했어요. 그 친구 말로는 "내 디지털 인생이 종이 한 장에 달려있다니 웃기지 않냐"고 하더라구요.

플랫폼마다 다른 사후 계정 정책

각 서비스마다 사망자 계정 처리 방식이 완전 제각각이라 헷갈려요. 제가 직접 알아본 내용 공유할게요.

네이버는 좀 보수적이에요. 작년에 제 클라이언트 가족이 문의했을 때, 네이버는 고인의 아이디/비번을 절대 알려주지 않더라고요. 대신 유족임을 증명하면 계정 삭제는 도와주고, 블로그 같은 공개 자료는 백업해준대요.

구글은 좀 똑똑해요! "비활성 계정 관리자"라는 기능이 있어서, 내가 오랫동안 로그인 안 하면 특정인에게 데이터를 넘길 수 있게 미리 설정할 수 있어요. 근데 이거 설정 안 해놓으면... 음, 가족들 고생길 열리는 거죠. 지난번에 설정하는데 5분도 안 걸렸어요. 진짜 꿀팁!

페북이랑 인스타는 "추모계정" 기능이 있어요. 작년에 제 대학 동창이 세상 떠났는데, 페북이 추모계정으로 바뀌어서 친구들이 추억을 나눌 수 있었어요. 근데 이것도 미리 "상속자" 지정 안 해놓으면 가족들이 로그인 못 해요.

내 디지털 흔적 정리하는 현실적인 방법

자, 이제 실제로 뭘 해야 할지 알려드릴게요. 제가 지난 3년간 직접 실천하고 있는 방법들이에요:

  • 일단 디지털 자산 목록부터 만들어요. 저는 엑셀에 다 정리했어요. 중요도 순으로요! 메일, SNS, 블로그, 은행, 비트코인 지갑... 다 적어두세요. 지난주에 정리했더니 무려 63개 계정이 나오더라고요, 헉!
  • 그리고 각 서비스의 상속 기능을 찾아서 설정해요. 구글 비활성 계정 관리자는 진짜 필수! 페북 상속자 기능도요. 이거 설정하는데 진짜 10분도 안 걸려요.
  • 비밀번호 관리 도구도 강추해요. 저는 라스트패스 쓰는데, 비상연락처 기능이 있어서 내가 지정한 사람에게 긴급시 접근권한을 줄 수 있어요. 작년에 해외여행 갔다가 폰 잃어버렸을 때 진짜 유용했어요!
  • 디지털 유언장도 써보세요. 법적 구속력은 아직 부족하지만, 가족들에게 내 의향을 알리는 데 도움돼요. 저는 공증까지 받아뒀어요.
  • 그리고 가끔씩 안 쓰는 계정은 정리해요. 지난 달에 대청소하듯 10개 계정 삭제했더니 속이 다 시원하더라고요!

앞으로 달라질 디지털 유산 제도

한국은 아직 디지털 유산 관련 법이 부실해요. 근데 희소식! 요즘 '디지털 유산법' 논의가 활발하대요. 이 법이 통과되면 내 디지털 자산을 합법적으로 상속할 수 있게 된대요.

이건 정말 필요한 변화예요. 제 유튜버 고객 중에는 월 수백만원 버는 분들도 많은데, 이런 수익원이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하잖아요? 얼마 전 만난 한 파워블로거는 "내 블로그가 내 아파트보다 가치 있을지도 모르는데, 이걸 자식한테 물려줄 방법이 없다"며 한숨 쉬더라고요.

오늘부터 시작해요!

"아, 나중에 해야지~" 하고 미루기 쉽지만, 솔직히 언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잖아요? 지난주에도 건강하던 지인이 갑자기 쓰러져서 가족들이 디지털 계정 때문에 고생하는 걸 봤어요.

여러분의 소중한 추억과 자산, 제대로 지켜주세요! 비밀번호 목록 만들고, 구글 비활성 계정 관리자 설정하고, 페북 상속자 지정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30분이면 충분해요.

어제 저녁에 제 모든 디지털 계정을 정리하고 나니 묘한 안도감이 들더라고요. 마치 보험 들어놓은 것처럼요. 여러분도 이 기분 느껴보세요! 지금 당장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